KOSPI 2,734.36 ▲ 57.73 (+2.16%)
KOSDAQ 871.26 ▲ 5.67 (+0.66%)
|
|
|
🤗님!
투고레터는 장 마감 후, 그 날의 주요 종목들과 이슈를 정리하여 구독자 여러분들께 보내드리고 있는데요.
💌이제 장 시간 동안에도 발생하는 이슈를 실시간으로 전달해드리려고 해요!
아래 카카오톡 커뮤니티로 들어오시면 투고레터 필진인 노태성 대표님께서 분석해주시는 투자 정보들을 무료로 보실 수 있어요.
*현재 약 900명 참여중
*해당 커뮤니티는 익명성이 보장된 오픈 채팅방 형식으로 운영됩니다. |
|
|
🥇 1. 전선/전력설비
1. 세명전기 ▲ 29.94%
2. 제일전기공업 ▲ 29.93%
3. 대원전선 ▲ 29.91%
🥈 2. 수소에너지
1. 지엔씨에너지 ▲ 7.94%
2. 범한퓨얼셀 ▲ 3.65%
🥉 3. 조선
1. HD현대미포 ▲ 7.09%
2. HD현대중공업 ▲ 4.79%
3. 한화오션 ▲ 3.87%
🏅 4. 원자력
1. 광명전기 ▲ 19.74%
2. SNT에너지 ▲ 18.23%
3. 보성파워텍 ▲ 14.86%
|
|
|
🟣세명전기 ▲ 29.94%
: 미래 전력망 HVDC 송전선로 금구류 개발 완료 소식에 상한가
|
|
|
🟣제일전기공업 ▲ 29.93%
: 주당 1주 무상증자 소식에 상한가 |
|
|
🟣대원전선 ▲ 29.91%
: AI 데이터센터발 전력 수요 급증하며 전력케이블 관련주 상한가 |
|
|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 29.88%
: 대규모 자금조달 소식에 4거래일 연속 상한가 |
|
|
"반도체 핵심 국내 유일 블랭크 마스크 생산, 에스앤에스텍" |
|
|
😄안녕하세요, 님 !
오늘은 '에스앤에스텍' 에 대해 알아봅니다.
<관련기사>
|
|
|
에스앤에스텍은 주로 반도체와 평판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블랭크마스크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블랭크마스크를 통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과정에 필수적인 부품을 공급하며, 이를 통해 해당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스앤에스텍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으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다양한 투자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
|
반도체 시장은 IT 제품의 핵심 부품으로서 컴퓨터, 통신장비, 자동차, 디지털 가전제품, 산업기계, 컨트롤 시스템 등 광범위한 분야에 필수적입니다. 이 시장은 경제 및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반도체는 크게 메모리 반도체와 비메모리 반도체로 나눌 수 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는 정보 저장과 기억 기능을 수행하며, 제품 설계 기술, 공정 미세화, 원가 경쟁력이 중요합니다. 이 분야는 기술력과 원가 경쟁력을 갖춘 IDM 업체들이 중심이 되어 과점화되는 추세입니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연산과 논리적 정보 처리를 목적으로 하며, 아날로그, 로직, 마이크로, 디스크리트, 센스 등으로 구분됩니다. 이 분야는 기술 장벽이 높고 가격이 안정적이어서 경기 변동의 영향을 덜 받으며,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등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센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통신 칩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시장은 COVID-19로 인한 비대면 산업의 성장, AI 채택 증가,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으로 인해 2020년 대비 2021년에 크게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2022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요 약세와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수요 부진이 예상되어 2022년은 소폭 증가에 그쳤으며, 2023년에는 역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메모리 분야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머신러닝, 자율주행 등의 기술 상용화가 진행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반도체 시장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
|
디스플레이 시장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평판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시장은 TFT-LCD(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icro-LED 등의 기술을 포함합니다.
패널업체들은 LCD에서 OLED로 사업을 재편하고 있으며, 이는 기술력에서 우위를 가진 한국 기업에게 유리한 상황입니다. 디스플레이 사업은 기술 및 자본 집약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규모 생산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시장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수요의 변동성과 생산능력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 문제가 주기적으로 발생합니다.
2022년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는 1,228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감소했습니다. 이는 COVID-19 팬데믹의 특수 효과가 사라지고, 글로벌 인플레이션, 공급망 붕괴, 에너지 위기 등의 영향 때문입니다. 하지만 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은 기술 발전에 따라 자동차, AR/VR, 확장현실(XR) 등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되며, 견조한 성장세가 예측되고 있습니다. |
|
|
포토마스크 시장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소재인 포토마스크의 수요와 발전에 관한 것입니다. 포토마스크는 블랭크 마스크를 사용하여 반도체 집적회로와 LCD 등의 패턴을 형상화한 재료입니다.
전체 포토마스크 시장은 2019년 40억 달러를 넘어서며, 2027년까지 연평균 4.5%의 성장률로 5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됩니다(The Insight Partners, 2019). 특히 FPD용 포토마스크 시장은 2020년 9.2억 달러에서 2024년까지 연평균 2%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OLED용 포토마스크 수요는 연평균 14%의 높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반도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컴퓨터,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바이오, 의료, SoC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시스템반도체인 차량용 반도체와 자율주행 반도체 등 고성능 반도체 직접회로(IC)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포토마스크와 블랭크 마스크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기대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추세는 포토마스크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블랭크 마스크는 포토마스크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로, 패턴이 형상화되기 전의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반도체용 블랭크 마스크와 FPD(Flat Panel Display)용 블랭크 마스크입니다.
반도체용 블랭크 마스크는 6 x 6 인치 크기의 석영기판 위에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 두께의 금속 차광막과 반사 방지막이 증착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감광액이 도포되어, 노광, 현상 및 검사 등의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포토마스크가 제작되며, 이후 반도체 공정에 사용됩니다.
FPD용 블랭크 마스크는 디스플레이 제품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집니다. 초기 1세대의 330 x 450 사이즈에서 현재는 1620 x 1780 사이즈의 10세대 크기까지 발전했습니다. 대형 TV를 중심으로 한 발전으로 인해, 원가 절감 및 생산 효율성 증대를 위해 더 큰 크기의 FPD용 포토마스크 및 블랭크 마스크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의 미세화와 고도화 추세에 따라, 고품질의 반도체 소자 및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를 위한 블랭크 마스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블랭크 마스크는 재료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물질과 구조가 결정되면 변경이 어려운 산업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재료의 변경은 고객사의 공정 및 장비 변경을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하이엔드 제품일수록 비탄력적인 수요를 보이며, 이로 인해 산업에 대한 진입 장벽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에스앤에스텍은 일본 기업이 주도하는 반도체용 블랭크 마스크 시장에서, 일본 외 지역의 고객들의 수요에 부응하여 2001년 국내 유일의 블랭크 마스크 전문업체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국내 반도체 및 LCD 산업을 기반으로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입했으며, 특히 국내 주요 반도체 회사들로부터 품질 인증을 받아 해외 고객들의 신뢰를 확보했습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 트렌드는 고성능, 저전력, 저비용 반도체 제조를 위한 미세 공정 기술로의 전환과 QD디스플레이, Mini-LED, Micro-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개발 및 양산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에스앤에스텍은 기술 개발과 투자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하이엔드 블랭크 마스크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처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19.3%의 매출 성장을 이루었으며, 2022년에는 미중 무역 갈등,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1,235억원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IT 산업의 확장으로 블랭크 마스크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있으며, 반도체 부문에서는 Captive Market을 중심으로 하이엔드 수요가, 디스플레이 부문에서는 OLED를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에스앤에스텍은 주요 고객 및 협력사와의 전략적인 협업 관계를 강화하고, 고객의 요구에 맞는 차별화된 제품을 적기에 제공하는 등 시장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반도체 노광 기술(EUV Lithography)을 위한 소재 기술 개발 및 양산화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에스앤에스텍은 블랭크마스크 사업 기준으로 국내 233건, 해외 80건을 포함한 총 313건의 지적재산권 출원과, 국내 106건, 해외 102건을 포함한 총 208건의 등록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
|
- 기술 리더십과 국산화 진행 : 에스앤에스텍은 반도체와 평판디스플레이(FPD)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블랭크마스크와 EUV 펠리클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고 국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생산 능력 확대 : 회사는 연내 완공 예정인 경기도 용인의 새로운 공장에서 EUV 펠리클 양산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이는 생산 능력의 대폭적인 확장을 의미하며,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산업 수요 증가에 대한 대응 : 반도체 산업에서 EUV(극자외선) 노광 기술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에스앤에스텍이 EUV 펠리클과 관련된 고성능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반도체 제조 공정의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전략적 파트너십과 투자 : 삼성전자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안정적인 수요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향후에도 계속해서 에스앤에스텍에 안정적인 매출과 성장 동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 시장 리더십 및 글로벌 확장 : 에스앤에스텍은 국내 시장에서의 강력한 입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점점 더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시아 및 미국 시장에서의 활동을 강화하고 있어, 해외 매출 증가가 기대됩니다.
|
|
|
에스앤에스텍은 반도체 및 TFT LCD 생산에 필수적인 노광 공정에 사용되는 포토마스크의 원재료인 블랭크 마스크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System LSI, LCD, OLED 등 국내 고부가가치 시장과 중국 패널업체의 전방 산업 투자 확대에 대응하여 제품과 고객 기반을 넓히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블랭크마스크 제품이 매출의 98%를 차지하며, 중국 시장에서의 패널업체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신규 공장 증설도 진행하였습니다.
2023년 12월 기준으로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56.4%, 당기순이익은 48% 각각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특히 해외 수출 부문에서 두드러졌으며, 중국에서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스마트기기와 반도체 시장의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블랭크마스크의 지속적인 외형 확대가 기대됩니다. 에스앤에스텍은 시장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노광 기술에 필요한 소재기술의 개발과 양산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실적 증가로 인해서 올해에는 주가도 바닥을 올리며 상승할 수 있다 생각합니다. |
|
|
📈에스앤에스텍 관련하여 전문적인 차트분석이 궁금하시다면, 카카오톡 커뮤니티를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
|
|
😊궁금하신 사항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
|
💝투고레터가 유익하셨다면, 친구와 가족에게도 알려주세요!💝
|
|
|
📬 이름 및 이메일 주소를 수정하고 싶으신 분들은 여기를 눌러주세요! |
|
|
(주)이머니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311, 재화스퀘어 12층 eMoney (염리동)
대표전화 02-6272-3415 FAX 02-780-5017
© eMoney Corp.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