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2,469.69 ▼ 8.92 (-0.36%)
KOSDAQ 836.21 ▼ 3.90 (-0.46%)
|
|
|
🤗님!
투고레터는 장 마감 후, 그 날의 주요 종목들과 이슈를 정리하여 구독자 여러분들께 보내드리고 있는데요.
💌이제 장 시간 동안에도 발생하는 이슈를 실시간으로 전달해드리려고 해요!
아래 카카오톡 커뮤니티로 들어오시면 투고레터 필진인 노태성 대표님께서 분석해주시는 투자 정보들을 무료로 보실 수 있어요.
*현재 약 900명 참여중
*해당 커뮤니티는 익명성이 보장된 오픈 채팅방 형식으로 운영됩니다. |
|
|
🥇 1. 중국국적주
1. 골든센츄리 ▲ 29.63%
2. 씨엑스아이 ▲ 14.29%
3. 헝셩그룹 ▲ 3.88%
🥈 2. 은행
1. 제주은행 ▲ 20.16%
2. 푸른저축은행 ▲ 3.10%
3. 신한지주 ▲ 2.29%
🥉 3. 교육
1. 메가엠디 ▲ 9.40%
2. 아이비김영 ▲ 4.76%
3. YBM넷 ▲ 4.71%
🏅 4. 보험
1. DB손해보험 ▲ 2.84%
2. 한화생명 ▲ 2.48%
3. 흥국화재 ▲ 1.91%
|
|
|
🟣TPC ▲ 29.97%
: 전 세계 협동로봇 2위의 글로벌 기업인 TM로봇과 공동 개발을 포함한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소식에 상한가 |
|
|
🟣코세스 ▲ 29.96%
: 국가 전략기술에 HBM 추가 소식 및 SK하이닉스, HBM 공정에 국산장비 투입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
|
🟣미스터블루 ▲ 29.93%
: 정부 주도 웹툰 산업 지원 강화 소식 등에 상한가
|
|
|
🟣인성정보 ▲ 29.87%
: 신임 사업 총괄에 조정재 사장 선임 등 조직 개편으로 실적 개선 기대감에 상한가 |
|
|
"TM로봇-엔비디아 디지털트윈 수혜주, TPC" |
|
|
리니어모터는 전통적인 회전 모터와는 달리 직선 운동을 생성하는 모터입니다. '리니어(Linear)'는 '선형의' 또는 '직선의'를 의미하며, 이 모터는 직선 경로를 따라 힘을 전달합니다. 기존의 회전 모터가 회전 운동을 통해 기계적 에너지를 생성하는 반면, 리니어모터는 직선 운동으로 이를 생성합니다.
리니어모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정밀도가 중요한 분야에서 그 가치를 발휘합니다. 예를 들어, 공장 자동화, 로봇 공학, 의료 기기, 교통 시스템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모터의 장점은 높은 정밀도와 효율, 빠른 응답 속도 등입니다. 리니어모터는 기계적인 전환 없이 직접적인 운동을 생성하기 때문에, 더 부드럽고 정확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3D 프린터와 같은 정밀 장비에서 리니어모터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모터를 통해 3D 프린터는 높은 정밀도로 재료를 적층할 수 있으며, 이는 최종 제품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TPC 같은 기업이 리니어모터 기술에 투자하고 개발하는 것은 그들의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
|
생산설비 자동화 시스템, 특히 공기압기기 산업은 모든 산업의 기초이자 기술집약적인 산업입니다. 이 산업은 공압실린더, 솔레노이드밸브, 청정화기기, 공압보조기기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장치들은 모든 자동화 설비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작동하는 핵심 구성요소입니다. 공압기기 산업은 설계와 정밀 가공 기술의 보유 정도에 따라 그 기술력이 평가되며, 전기, 전자, 반도체, 물류, 자동차, 조선, 화학, 플랜트 등 다양한 산업의 기술 향상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산업 발전에 힘입어 이 산업은 고도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전자 반도체, IT, 자동차 등 핵심 기술 발달에 따라 정밀 초소형 솔레노이드 밸브와 정밀 소형 공압 실린더의 개발 및 생산이 요구됩니다. 현재 국내 시장 규모는 약 1.2조원으로 추산되며, 전 세계 시장 규모는 연간 약 20조원에 달합니다.
공기압기기제품은 정밀도가 높고, 경기 산업 전반에 걸쳐 적용되므로, 경기 변동에 따른 탄력성이 일정 수준 있지만, 해외 시장의 성장과 중국의 급성장으로 인해 수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요 경쟁업체로는 한국에스엠씨공압, 한국훼스토 등 외국계 현지 법인이 있으며, 국내에는 30여 개 소규모 업체가 있지만, 대부분 수입제품에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입니다. TPC는 공기압시스템의 주요 제품을 국산화하여 수입 상품에 대응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제조업체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TPC는 공기압기기인 구동기기, 방향제어기기, 청정화기기, 기타 보조기기 등을 국내 시장에 원활히 공급하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 확보는 물론 수입 대체로 국내 기업의 원가 절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1995년부터 지속적인 R&D 투자와 공격적인 영업 마케팅을 통해 국내에서 유일하게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으며, 전자 반도체 시장 진입 및 미국, 대만, 중국으로의 수출을 통해 향후 매출과 수익성에서 연간 약 2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TPC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소재 및 알루미늄 튜브 등의 주요 원재료를 계열사인 (주)KST와 (주)단해로부터 조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품질과 납기에 있어서 안정적인 공급을 자랑합니다. 1979년 창업 이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 최대의 공기압기기 제조업체로 성장한 TPC는 국내외 전 산업에 적용될 제품을 국산화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국내 정보화산업과 전자산업의 성장에 따른 제품 개발과 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TPC는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 개발과 품질 인증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미 1995년 EM마크, K마크를 획득했으며, 1996년 ISO 9001, 1997년 CE마크를 획득했습니다. 또한, 2002년에는 신기술촉진대회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였습니다.
TPC는 중국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중국 상해에 현지 대표처를 설립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매출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생산 자동화 분야의 성장과 함께 TPC의 공압 기기는 상당한 성장세를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연이어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
|
|
TPC는 FA(Factory Automation) 관련 Total Solution을 제공하기 위해 Pneumatics(공기압기기)와 Motion Control(모션 컨트롤)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TPC의 주요 고객층은 리니어 모션의 핵심 고객층인 전자/반도체(평판 디스플레이 포함) 및 자동차 업계이며, 특히 산업 기계 부문에서 서보 모터의 범용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이 분야에서도 많은 고객 시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재 TPC와 거래하고 있는 고객들은 모두 리니어 모션 사업의 잠재 고객이라 할 수 있으며, 리니어 모션 시장은 약 1조 원 규모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리니어 모션 내수 시장은 약 4~5천억 원 규모(TPC 영업부 추정)로, 매년 20% 이상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리니어 모션 사업은 대부분 외국 제품이 점유하고 있지만, 가격, 납기, 품질 면에서 차별화를 이루면 시장 점유율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보 시스템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TPC의 리니어 모듈 등의 제품으로 시장 공략이 가능합니다. 주요 경쟁업체로는 로보스타, 다사테크 등이 있으나, TPC의 리니어 모듈은 국내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하여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TPC는 리니어 모듈과 서보모터 외에도 감속기 등 주변 기기들을 패키지화하여 상품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모션 컨트롤 시스템과 관련된 공장 자동화 설비 투자 비율은 국제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매년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업종 및 전자, 반도체 업종의 설비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생산 자동화는 산업 전반에 적용되는 업종으로서 국내 산업의 회복세와 함께 석유화학, 섬유, 요업 등의 시설투자 확대로 공기압 시장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산업은 수입 의존도가 70% 이상이므로, TPC와 같은 국산화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한다면 충분한 시장 확대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3D프린터는 3차원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폴리머, 금속 등의 소재를 용융하거나 파우더 적층 방식으로 형상을 만드는 설비로, 2000년대 후반부터 미래 유망 기술로 각광받기 시작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3D프린터 시장은 향후 10여 년 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3D프린터 시장은 제조업, 건설업, 의료업, 자동차, 항공우주,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시장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TPC는 2013년 10월부터 3D 프린팅 사업본부를 신설하고, 국내외 3D프린터 업체와 사업 협약을 시작하여 세계적인 3D 프린터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TPC는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으며, 대만의 Quanta Storage 사의 "Techman Robot"을 국내시장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2017년부터 사업 방향을 기존 공압 및 모션콘트롤 사업을 기반으로 3D프린팅 및 협동로봇 솔루션을 융합한 "스마트팩토리 융합솔루션"으로 명확히 설정하고, 경쟁력의 기본 요소인 가격, 성능, 품질, 납기, 서비스 부문에서 추구할 방향과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발맞춰 다품종 소량생산에 최적화된 유연한 생산 시스템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TPC는 이에 최적화된 솔루션 제공으로 매출 및 수익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TPC는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사업을 통해 바이오 기술과 메카트로닉스 기술을 융합하여 의료 및 검사 등 다양한 목적에 적합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TPC는 세라믹 소재를 활용한 덴탈/산업용 3D프린팅 전문회사인 ㈜3D컨트롤즈와 제휴 투자 계약을 체결하고, 인공피부 및 암오가노이드 등의 바이오 3D 프린팅 전문회사인 ㈜클리셀로부터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하는 등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
|
- 혁신적인 기술력 : TPC는 고도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혁신적인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리니어모터, 서보모터, 감속기와 같은 고성능 모션 컨트롤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 : TPC는 전자, 반도체, 자동차 산업 뿐만 아니라, 의료, 항공우주,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화는 회사의 성장 잠재력을 증가시킵니다.
- 3D 프린팅 및 협동로봇 사업 : TPC는 3D 프린팅과 협동로봇 분야에도 진출하였습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전략이며, 특히 바이오 3D 프린팅과 같은 최첨단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스마트 팩토리 융합솔루션 : TPC는 스마트 팩토리 융합솔루션을 통해 공장 자동화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생산 효율성 증대 및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산업 자동화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글로벌 시장 진출 및 협업 : TPC는 해외 유명 기업들과의 제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외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시장 진출과 같은 해외 사업 확장은 회사의 장기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
TPC는 1979년 1월 22일에 단해공압공업 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99년 12월에는 상호를 주식회사 TPC메카트로닉스로 변경했습니다. 회사는 공장 자동화 부품을 생산하는 공압사업부와 전동 모터 및 리니어 모터를 활용한 로봇을 생산하는 모션사업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규 사업으로 3D 프린터 전략팀과 협동로봇 전략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로봇 솔루션 파트에서는 미국 Rethink Robotics사와 대만 Quanta Storage사의 제품을 국내 시장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2023년 9월 기준으로 TPC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1% 감소하였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되었으며, 당기순손실은 1390.2%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초소형 솔레노이드 밸브 개발을 통한 내수 및 수출 확대를 예상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성능과 품질을 확보하여 매출 신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출과 내수시장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상해에 현지 대표처를 설립하여 가동하고 있으며, 중국 시장의 잠재 고객을 적극 공략하여 향후 매출 증대가 예상됩니다.
당장 실적이 나오는 기업은 아니기에 주가상승에 큰 기대를 보긴 어렵다 생각하며 좋은 모멘텀은 보유하고 있기에 단기적으로 급등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생각합니다. 로봇주 중에서 아직 바닥에서 움직이지 못한 후발주자로 상승시 단기간 크게 오를 수 있는 구간입니다. |
|
|
재고자산은 소폭 감소로 일단 실적에 긍정적인 흐름입니다. |
|
|
📈TPC 관련하여 전문적인 차트분석이 궁금하시다면, 카카오톡 커뮤니티를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
|
|
😊궁금하신 사항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
|
💝투고레터가 유익하셨다면, 친구와 가족에게도 알려주세요!💝
|
|
|
📬 이름 및 이메일 주소를 수정하고 싶으신 분들은 여기를 눌러주세요! |
|
|
(주)이머니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311, 재화스퀘어 12층 eMoney (염리동)
대표전화 02-6272-3415 FAX 02-780-5017
© eMoney Corp.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