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2,500.94 ▼ 0.46 (-0.02%)
KOSDAQ 845.06 ▲ 1.88 (+0.22%)
|
|
|
"주식시장 : 수출 악화만 보기보다,
전환점을 노려보자."
|
|
|
1. 기저효과와 기고효과 발생
2. 코스피 등락률과 수출 증감률
3. 증시 이슈 TOP 3(Update!) |
|
|
📃 전년 대비 수출 감소가 7개월 연속 지속되다 보니, 무역수지 적자가 1년 넘게 반복되고 있습니다. 4월 수출은 전년 대비 –14.2%나 감소하면서 투자심리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상장사들의 매출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수출입 동향 자료는 매 10일 단위로 발표되기에 전 세계가 집중하는 중요한 경제 지표이기도 합니다.
매달 반복되는 수출입 관련 부정적인 소식들을 과연 주식시장은 언제 긍정적인 시그널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
|
|
수출 증감은 기업들의 실적에도 영향을 미친다.
|
|
|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극단적으로 눌렸던 소비가 분출되면서 기저효과와 기고효과가 연달아 발생하고 있습니다.
✔ 2021년은 수출 증가와 기저효과가 강하게 발생하면서 수출 증가율이 드라마틱하게 형성되었고,
✔ 2022년 이후로는 수출이 정체 국면을 걷기 시작하여 하반기부터는 예년 수준으로 수출이 줄어들면서 기고효과로 인하여 월별 수출은 감소세로 접어들었습니다.
전년 대비 수출 감소가 7개월 연속 지속되며 4월 수출은 전년 대비 –14.2%나 감소하였습니다.
📍 이러한 수출 감소는 상장사 실적을 우려하게 하지요.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의 경제 구조상 수출 증감은 상장사들의 매출액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습니다. 2011년~2022년까지 코스피 상장사들의 연도별 매출 증감률과 연도별 수출증감률을 아래 표로 정리하고 상관계수를 분석하여 보았습니다.
📊 한눈에 보더라도 연도별 수출 증감률과 코스피 상장사의 매출 증감률은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두 지표 간의 상관계수는 0.75로 제법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니, 수출 증감은 코스피 상장사들의 매출 증감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할 수 있겠습니다. |
|
|
[2011년 이후 연도별 수출 증감률과 코스피 상장사의 매출액 증감률 그리고 상관계수 분석] |
|
|
원자료 : KRX, 관세청
자료분석 : lovefund이성수 |
|
|
✔ 철저한 원칙으로 성공투자의 지름길을 알려주고
✔ 보다 깊은 시황 분석과 종목 선정 이유까지!
✔ 투고레터를 작성한 전문가가 직접 선정한 종목이 궁금하다면? |
|
|
그런데, 의외로 직접적으로 상관없는 코스피 등락률과 수출 증감 : 오히려!
|
|
|
상장사 매출과 수출 증감률이 높은 상관도가 있다면, 수출 증감이 주가와도 직접적인 상관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해보는 것은 자연스러운 생각일 것입니다.
그런데 의외로 1990년대 이후 연도별 코스피 등락률과 연도별 수출 증감률은 오히려 역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
|
|
[10년 단위로 나누어 분석해 본 코스피 등락률과 수출 증감의 상관관계] |
|
|
원자료 : FnGuide,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자료분석 : lovefund이성수 |
|
|
의외의 결과가 아닐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분석을 해보고 싶어지더군요.
💭 “혹시 주식시장이 1년 후의 수출을 선반영하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코스피 연간 등락률 자료를 1년 후 미래의 수출증감률과 시계열을 재조정한 후 분석해보았습니다. |
|
|
[주가지수 등락률을 1년 후 미래 수출 증감률에 맞추어 상관관계를 분석 해 보니] |
|
|
원자료 : FnGuide,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자료분석 : lovefund이성수 |
|
|
그 결과 높은 수준의 상관계수가 계산되었습니다. 📌즉, 코스피 지수가 미래 수출을 선반영하고 있었던 것이지요.
한국의 수출 지표는 그 어떤 나라보다도 빨리 발표되는 경제 지표입니다. 그렇다면 이를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하려 한다면 과연 무엇을 보아야 할까요?🤔 특히나 수출 악화가 연이어지고 있는 암울한 현재 상황에서 말입니다.
그것은 바로, ⭐변곡점에 힌트가 있을 것이라 봅니다. 수출 감소율이 돌아서기 시작한다면 증시에 드리워졌던 부담이 조금이나마 거두어지는 계기가 마련될 것입니다.
아쉬운 점은 지난 4월 20일까지만 하더라도 수출 증감 전년 대비 감소율이 완화되려 하였지만, 4월 최종 수출 증감률이 원점으로 돌아선 것은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5월 이후에는 수출 감소율이 방향을 돌려야 할텐데 말입니다.
|
|
|
✔ 페라이트
- 테슬라 전기차에 희토류 대신 페라이트?...관련주 강세
- 페라이트 관련주: 삼화전기, 삼화전자, EG, 씨큐브, 유니온머티리얼, 유니온, 한솔테크닉스
✔ 네옴시티
- 빈 살만 네옴시티, 국내 중소기업 대규모 수주 쾌거
- 네옴시티 관련주: 한미글로벌, 현대무벡스, 유신, 희림, 슈프리마
✔ 식량
- 흑해곡물협정 러, 유엔 회담 5일 개최...4자회담도 당일 가능성 - 사료 관련주 : 미래생명자원, 팜스토리, 한일사료, 고려산업 |
|
|
🎡투고레터는 5월 5일(금) 어린이날 잠시 쉬어갑니다.
다음주 5월 8일(월)에 다시 만나요!🤗 |
|
|
😊궁금하신 사항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
|
💝투고레터가 유익하셨다면, 친구와 가족에게도 알려주세요!💝
|
|
|
📬 이름 및 이메일 주소를 수정하고 싶으신 분들은 여기를 눌러주세요! |
|
|
(주)이머니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311, 재화스퀘어 12층 eMoney (염리동)
대표전화 02-6272-3415 FAX 02-780-5017
© eMoney Corp.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