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상황을 이겨낼 수 있는 관세와 관련 없는 기업들에 대해서 준비했습니다. 일단 관세가 왜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는지? 무엇인지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관세의 기본 개념
- 외국에서 물건이 들어올 때 정부가 부과하는 '세금'
- 쉽게 말해 수입품에 붙는 '추가 요금'
예시로 보면
- 중국에서 1000만원짜리 제품을 수입할 때
- 관세가 25%라면
- 250만원을 추가로 내야 함
- 결과적으로 그 제품의 실제 비용은 1250만원이 됨
관세의 목적 1. 자국 산업 보호
- 외국 제품을 비싸게 만들어서
-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함
2. 정부 수입 확보
- 관세를 통해 정부가 세금 수입을 얻음
3. 무역 균형 조정
- 특정 국가와의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해 사용
영향
- 소비자 : 수입품 가격이 올라감
- 기업 : 원자재/부품 비용 증가 - 국제관계 : 무역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음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 주로 중국 제품에 높은 관세 부과
- 미국 제조업 보호가 주요 목적
- 철강, 알루미늄 등 기초 산업재가 주요 대상
관세를 부과하면 물가가 오르는 이유? 1. 직접적인 가격 상승
- 수입품에 관세가 붙으면 → 수입 비용 증가
- 기업들이 늘어난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
- 결과: 최종 제품 가격 상승
예시로 설명하면 ``` 중국산 냉장고 가격: 100만원 관세 25% 부과: +25만원 운송비/마진 등: +15만원 최종 소비자 가격: 140만원 ``` 2. 연쇄적인 가격 상승
- 원자재에 관세 부과 (예: 철강, 알루미늄)
→ 자동차, 가전제품 등 제조원가 상승
→ 관련 제품들의 가격도 함께 상승
→ 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짐
3. 경쟁 감소 효과
- 수입품이 비싸지면 국내 기업들도 가격을 올릴 여유가 생김
- 경쟁이 줄어들어 전반적인 가격 상승 압력 발생
4. 임금-물가 상승 악순환
- 물가가 오르면 임금 인상 요구 증가
- 임금이 오르면 기업의 비용 증가
- 기업은 다시 가격을 올려 비용을 만회하려 함
- 결과: 물가 상승 악순환 발생
이런 이유로 관세는 단순히 수입품 가격만 올리는 게 아니라, 전체 경제의 물가를 끌어올리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에 따라서 우리는 관세를 피할 수 있는 종목들도 포트폴리오에 편입을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1. 반도체 및 IT 산업 ● 반도체: 한국의 반도체 산업은 트럼프 관세의 주요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으며, 글로벌 수요 증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AI 및 데이터 센터용 고성능 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IT 기기: 정보통신 장비와 같은 IT 제품은 AI 기술과 소비자 전자제품 수요 증가로 인해 강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IT 관련 제품의 수출은 약 6.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바이오헬스 산업 ● 바이오헬스는 트럼프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며, 신약 개발과 의료기기 수요 증가로 꾸준한 성장이 기대됩니다. 2025년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은 약 4.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조선업 ● 한국의 조선업은 트럼프 관세 정책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미국의 에너지 및 방위산업 확장과 관련된 선박 수요 증가가 한국 조선사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 또한, LNG 운반선과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 한국 조선업체들은 여전히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친환경 에너지 및 자원 산업 ● 트럼프 행정부는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강화하고 있지만, 한국은 친환경 에너지 기술(예: 태양광, 풍력)과 관련된 글로벌 시장에서 여전히 성장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또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 및 장비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5. 디스플레이 산업 ● OLED와 같은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은 중국의 경쟁 심화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수요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과 TV 제조업체들의 고급 디스플레이 패널 채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결론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인해 자동차, 철강, 배터리와 같은 전통적인 주력 산업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지만, 반도체, IT, 바이오헬스, 조선업 등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으면서도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이러한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해야 할 것입니다. 트럼프 관세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실적이 좋은 주식으로는 반도체, IT, 바이오헬스 등 특정 산업군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종목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종목과 산업별 전망입니다.
1. 반도체 및 IT - 삼성전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및 데이터 센터용 메모리 칩 수요 덕분에 실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트럼프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산업으로 평가됩니다.
- SK하이닉스: 메모리 반도체 수출이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글로벌 기술 수요 확대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네이버(Naver) 및 카카오(Kakao): 디지털 플랫폼 및 클라우드 서비스 확장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며 관세 영향을 받지 않는 디지털 기반 산업군으로 분류됩니다.
2. 바이오헬스 -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와 항체 치료제 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글로벌 의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위탁생산(CMO) 계약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관세 정책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분야로 평가됩니다.
3. 에너지 및 친환경 산업 - 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와 함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 내 생산시설 확충으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 한화솔루션: 태양광 패널과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 추세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조선업 - 현대중공업: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산업으로 평가됩니다. - 삼성중공업: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과 수주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5. 금융 및 데이터 서비스 - 한국거래소(KRX): 금융 데이터와 거래 플랫폼 제공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며, 관세와 무역 분쟁의 영향을 받지 않는 내수 중심의 금융 서비스 기업입니다.
- NH투자증권: 자산관리와 투자은행 부문에서 강점을 보이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국에서 가장 관심있는 테마는 “게임주” , “엔터주”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