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2,745.82 ▼ 9.29 (-0.34%)
KOSDAQ 910.05 ▼ 1.20 (-0.13%)
|
|
|
🤗님!
투고레터는 장 마감 후, 그 날의 주요 종목들과 이슈를 정리하여 구독자 여러분들께 보내드리고 있는데요.
💌이제 장 시간 동안에도 발생하는 이슈를 실시간으로 전달해드리려고 해요!
아래 카카오톡 커뮤니티로 들어오시면 투고레터 필진인 노태성 대표님께서 분석해주시는 투자 정보들을 무료로 보실 수 있어요.
*현재 약 900명 참여중
*해당 커뮤니티는 익명성이 보장된 오픈 채팅방 형식으로 운영됩니다. |
|
|
✔ SDN (099220)
- 태양광 발전사업자와 시스템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태양전지판, Inverter 등을 공급하는 태양광 사업과 어민 및 레져 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선외기를 공급하는 엔진·조선 사업 영위
|
|
|
🥇 1. 수소에너지
1. 지엔씨에너지 ▲ 13.39%
🥈 2. 우주
1. 쎄트렉아이 ▲ 17.49%
2. 컨텍 ▲ 11.15%
3. AP위성 ▲ 7.00%
🥉 3. 반도체
1. 윈팩 ▲ 29.97%
2. 미래산업 ▲ 29.95%
3. 가온칩스 ▲ 22.88%
🏅 4. 항공
1. 진에어 ▲ 6.91%
2. 티웨이항공 ▲ 6.11%
3. 제주항공 ▲ 3.12%
|
|
|
🟣SDN ▲ 29.98%
: 엘런 美 재무장관, 中 태양광 산업 압박 및 산업부, 태양광기업 공동연구센터 가동 소식 등에 상한가
|
|
|
🟣윈팩 ▲ 29.97%
: 삼성전자,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및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강세 등에 상한가 |
|
|
🟣미래산업 ▲ 29.95%
: 반도체 검사장비 공략 베트남 법인 설립 소식에 상한가 |
|
|
🟣필옵틱스 ▲ 29.88%
: 국내 최초 반도체 패키징용 'TGV'양산 장비 공급 소식에 상한가 |
|
|
🗽미국
-4분기 GDP 확정치 발표
-2월 잠정주택판매지수 발표 |
|
|
😄안녕하세요, 님 !
오늘은 '한솔케미칼' 에 대해 알아봅니다.
<관련기사>
|
|
|
화학산업은 석유화학, 정밀화학, 무기화학 등으로 크게 분류됩니다. 이 산업은 광범위하며 다양한 품목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체 시장 규모와 생산 능력을 종합적으로 언급하기는 어렵습니다.
정밀화학 산업은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 제지약품, 수처리제, 염료, 도료, 안료, 반도체약품, 계면활성제, 접착제, 화장품, 의약품 등을 생산하는 산업입니다. 이 산업은 가공형 산업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국의 정밀화학 산업은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따라 생산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1980년대에는 수요산업의 발전으로 연평균 15%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1990년대에는 성장률이 다소 낮아졌지만, 수요의 고급화에 부응하는 신제품 개발을 통해 약 10% 내외의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첨단산업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 증가에 힘입어 관련 약품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졌으며, 향후에도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
|
|
-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는 친환경 산화제로서 반도체, PCB, 디스플레이, 제지, 섬유, 수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고객사의 반도체 라인 증설에 따라 초고순도 과산화수소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한솔케미칼은 생산 능력(CAPA)을 증설하여 안정적인 공급 물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
|
- 라텍스외 제지약품
제지산업에서 사용되는 부재료 제품들은 품질 고급화와 함께 다양한 용도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발은 건축용, 카펫용, 부직포용 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이를 통해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및 중동 시장으로의 수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공입자 및 Bio-SBL과 같은 신규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를 늘리고 있습니다.
최근 위생 의식의 개선과 의료/보건 규제의 강화라는 트렌드에 따라, NB 라텍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회사는 자체 기술을 활용하여 NB 라텍스를 개발하고 상업화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러한 변화와 개발은 제지산업에서 사용되는 부재료의 다양화와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
|
- 고분자응집제 (PAM)
고분자응집제는 제지, 섬유, 석유화학, 광산 산업의 폐수 처리 분야 및 하수, 음식물 처리, 축산 폐수 등 공공 처리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처리 약품입니다. 최근 수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환경 문제가 강조됨에 따라, 이 화학 약품은 환경 산업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고분자응집제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환경 보호와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인식되면서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차아황산소다 (SD)
섬유산업은 장기적인 불황과 저가 수입품과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습니다. 그러나 차별화된 제품과 새로운 시장을 발굴함으로써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우수한 품질과 지속적인 신제품 개발을 통해 내수 시장에서 일정한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출 시장도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섬유산업이 현재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BPO (Benzoylperoxide)
본 제품은 주로 폴리머 합성 시 중합 개시제로 사용되며, 페인트 및 EPS 레진 합성에도 쓰이고 있습니다. 일부 시장에서는 수입품과 경쟁하고 있지만, 국내 수요의 약 70%에 해당하는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산량의 50% 이상을 수출함으로써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내외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위치는 해당 제품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있습니다.
- 박막소재(Precursor)
반도체의 초미세화와 3차원 구조 증가, 그리고 고객사의 반도체 라인 증설로 인해 프리커서(Precursor)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 글로벌 주요 반도체 업체들에게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대만, 중국, 미국 등 해외 시장으로의 판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태양광 등 다른 산업에서도 필요로 하는 신규 프리커서에 대응하기 위해 실리콘, 메탈, 하이케이(High-k) 등 다양한 종류의 프리커서를 개발하여 시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당사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전자소재
디스플레이 시장이 성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업계는 제품의 성능, 품질, 디자인, 가격 등에서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재료의 변화를 통한 혁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와 고객사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QD(Quantum Dot)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재료 제품을 개발하고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사와의 공동 개발과 같은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디스플레이 업계의 경쟁력 강화와 시장 지위 확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이차전지소재
전기차(EV) 및 전동공구의 수요 증가 추세에 따라 이차전지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고성능 리튬이온 전지용 소재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여, 흑연과 동박에 접착력을 부여하는 음극 바인더, 고내열 분리막용 바인더, 차세대 고용량 실리콘 음극재 등 대용량 EV용 배터리에 필요한 다양한 소재를 개발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국내외 주요 배터리 업체들에 공급되어 이차전지 시장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
반도체 수요와 공급이 늘며 실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
📈한솔케미칼 관련하여 전문적인 차트분석이 궁금하시다면, 카카오톡 커뮤니티를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
|
|
😊궁금하신 사항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
|
💝투고레터가 유익하셨다면, 친구와 가족에게도 알려주세요!💝
|
|
|
📬 이름 및 이메일 주소를 수정하고 싶으신 분들은 여기를 눌러주세요! |
|
|
(주)이머니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311, 재화스퀘어 12층 eMoney (염리동)
대표전화 02-6272-3415 FAX 02-780-5017
© eMoney Corp.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