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2,754.86 ▲ 64.72 (+2.41%)
KOSDAQ 904.29 ▲ 12.84 (+1.44%)
|
|
|
🤗님!
투고레터는 장 마감 후, 그 날의 주요 종목들과 이슈를 정리하여 구독자 여러분들께 보내드리고 있는데요.
💌이제 장 시간 동안에도 발생하는 이슈를 실시간으로 전달해드리려고 해요!
아래 카카오톡 커뮤니티로 들어오시면 투고레터 필진인 노태성 대표님께서 분석해주시는 투자 정보들을 무료로 보실 수 있어요.
*현재 약 900명 참여중
*해당 커뮤니티는 익명성이 보장된 오픈 채팅방 형식으로 운영됩니다. |
|
|
✔ 케이바이오 (038530)
- 생명과학관련 기자재, 시약등을 유통하는 바이오유통사업을 주업종으로 영위
- 서울, 경기권을 중심으로 글로벌 과학 기술 기업과 대리점계약을 체결하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외에서 직접 수입하고 있는 브랜드의 매출 확대를 통해 전국 영역으로 사업 확장할 계획
|
|
|
🥇 1. 5G
1. 케이엠더블유 ▲ 21.11%
2. 인포마크 ▲ 16.44%
3. 와이어블 ▲ 12.26%
🥈 2. 통신장비
1. 케이엠더블유 ▲ 21.11%
2. 와이어블 ▲ 12.26%
3. 에이스테크 ▲ 11.74%
🥉 3. 가상현실
1. 디모아 ▲ 29.81%
2. 아이엠 ▲ 2.76%
3. 비유테크놀러지 ▲ 2.69%
🏅 4. 마스크
1. 레몬 ▲ 29.96%
2. 메디앙스 ▲ 29.93%
3. 국제약품 ▲ 10.39%
|
|
|
🟣코오롱티슈진 ▲ 29.96%
: 관리종목지정사유 해제 등에 상한가
|
|
|
🟣레몬 ▲ 29.96%
: 투자주의환기종목 해제에 상한가 |
|
|
🟣메디앙스 ▲ 29.93%
: 투자주의환기종목 해제 등에 상한가 |
|
|
🟣경동인베스트 ▲ 29.89%
: 자회사 경동, 태백 면산일대 티타늄 광체 확인 등에 상한가 |
|
|
😄안녕하세요, 님 !
오늘은 '켐트로닉스' 에 대해 알아봅니다.
<관련기사>
|
|
|
켐트로닉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으로, 지배회사인 주식회사 켐트로닉스와 함께 11개의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들 회사는 천진협진전자유한공사, 천진협진전선유한공사, 켐트로비나, CHEMTRONICS USA, CHEMTRONICS Slovakia a.s., 에이치에스솔라, 위츠, 위츠비나, 넥스비, 비욘드아이, 비욘드아이 연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 및 화학 사업을 주요 영역으로 하고 있습니다.
전자사업은 크게 두 부문으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에 필요한 전자부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사업부문입니다. 두 번째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전장용 등에 쓰이는 무선충전 모듈 및 세트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무선충전 사업부문이 있습니다. 또한 자율주행 사업부문에서는 V2X 통신 단말기, 자율주행센서인 ADAS, SVM 및 기타 전장부품(BCM, SKM, ETCS) 등을 개발 및 생산하여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 환경에서의 핵심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화학사업 또한 중요한 영역으로, 케미칼 사업부문에서는 페인트 및 도료에 쓰이는 공업용 케미칼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 필요한 전자재료 케미칼을 합성하고 정제하여 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사업부문에서는 모바일, 모니터, 노트북 PC용 등의 Rigid OLED Display Glass를 가공하는 식각(Thin Glass) 공정과 Display 일부 영역에 hole을 내는 HIAA(Hole in Active Area) 공정 등을 진행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켐트로닉스는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동을 통해 전자 및 화학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
1.전자사업 전자부품 사업부문
켐트로닉스는 연결 실체로써 지배 회사인 주식회사 켐트로닉스와 11개의 종속 회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전자 및 화학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자 부문에서는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에 들어가는 모듈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무선 충전 모듈 및 세트,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 환경에서 중요한 V2X 통신 단말기와 ADAS 기반의 SVM 등 전장 부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습니다.
화학 사업에서는 페인트, 도료용 공업용 케미칼과 반도체,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전자 재료 케미칼을 합성, 정제하는 전자용 케미칼을 개발, 제조, 판매합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사업 부문에서는 Rigid OLED Display Glass의 Thin Glass 공정과 HIAA 공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특성으로는 전자 부품 사업이 TV, 모니터, 건조기, 세탁기, 냉장고,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가전제품에 필수적인 전자 부품을 공급하며, 소재와 최종 제품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산업은 기술의 진보가 빠르고 제품 수명 주기가 짧아, 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업의 성장성 관점에서, 전자 부품 사업은 삼성전자와 같은 대기업의 외주화 추세에 발맞추어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Function PBA, 통합 기능 모듈 등의 제품을 개발하며, 신규 판로 개척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쟁 우위 요소로는 끊임없는 기술 개발과 원가 절감을 통해 TV PBA 분야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상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율주행 사업과의 기술 시너지를 통해 삼성전자의 스마트 모니터에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는 등 신규 제품을 확대하고 있으며, 가전제품용 AI 카메라 개발 및 양산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호치민에 위치한 켐트로비나를 기반으로 글로벌 제조 경쟁력을 강화하며 생산 캐파를 확대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
|
|
2. 전자사업 무선충전 사업부문
켐트로닉스의 무선충전 사업은 주로 종속회사인 위츠를 통해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 그리고 수신용 및 송신용 무선충전 모듈(WPC: Wireless Power Charger) 및 세트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진 차폐용 시트 소재도 자체 개발 및 조달하여, 대규모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무선충전 모듈 및 세트의 대량 생산에 유리한 사업 구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입니다.
무선충전 시장은 모바일 분야(스마트폰, 무선 이어폰, 스마트워치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가전제품과 자동차 등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해가는 중입니다. 시장 조사에 따르면, 무선충전기의 글로벌 출하량은 2014년 5천만 대에서 2024년에는 20억 대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무선충전 시장은 2021년 약 13조 7,000억 원에서 2026년에는 약 49조 7,000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처럼 무선충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며, R&D 역량 강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분야입니다.
켐트로닉스의 경쟁우위 요소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노하우와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보한 점에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무선이어폰, 스마트워치 뿐만 아니라 자동차, 가전, 가구, 자전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무선충전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무선충전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 스마트폰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가 있으며, 송신용 및 수신용 무선충전 시장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장용 중심으로 현대기아자동차, KG모빌리티(前 쌍용자동차), GM, Honda, Volvo 등과 고객 다변화를 이루고 있어, 향후 무선충전 전장 매출의 성장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GS커넥트, KG모빌리티와의 업무 협약을 통해 전기차 신모델에 무선충전 모듈을 탑재하는 등 전기차 무선 충전 사업으로도 확대하고 있으며, 위츠비나 신공장 증축을 통해 제조 경쟁력을 강화하고 전기차 테스트베드로 적극 대응해나갈 계획입니다. |
|
|
3. 전자사업 자율주행 사업부문 자율주행 통신(V2X) 및 자율주행 센서(ADAS)
켐트로닉스는 자율주행 사업 부문에서 V2X와 ADAS 관련 기술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 0에서 5까지 다양한 단계로 구분되며, 레벨 3 이상을 자율주행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레벨 4의 완전 자율주행은 차량이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하여, 비상시에도 운전자의 개입 없이 대응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차량 간 통신(V2V),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이 필수적이며, V2X 통신 기술은 이러한 상호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자율주행의 실현을 돕습니다.
V2X 통신 기술은 차량이 도로상에서 다른 차량, 도로 인프라와 지속적으로 정보를 교환하여 교통 상황, 접근 차량, 추돌 가능성 등을 파악하게 합니다. 이 기술은 차량의 안전을 우선시하며, 사고 예방과 연속 발생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켐트로닉스는 DSRC 및 C-V2X 통신 기준에 기반한 V2X 모듈을 개발하였고, 중국과 미국에서 C-V2X 통신 방식을 표준으로 채택함에 따라 해당 인프라 구축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한국 역시 C-V2X(LTE-V2X)를 단일 통신 방식으로 결정하였고, 켐트로닉스는 이에 따라 V2X OBU와 Smart Antenna, RSU를 개발하여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센서 기술 분야에서는 ADAS 솔루션을 포함하는 SVM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은 차량 주변 360도의 영상을 제공하여 주행 중이나 주차 시 추돌을 예방합니다. 켐트로닉스는 이 분야에서 고화질 HD급의 3D View 모드를 지원하는 SVM을 개발 및 양산하고 있습니다.
넥스비라는 자회사를 통해 자율주행 센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였고, 국내외 OEM/AM에 서라운드뷰 솔루션을 양산 공급하며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유럽과 중국의 신차 평가 프로그램(NCAP)에서 V2X를 장착한 차량에 높은 안전도 점수를 부여할 계획임에 따라, 켐트로닉스는 국내외 V2X 시장에서의 성장과 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4. 화학사업_케미칼 사업부문
켐트로닉스의 화학 케미칼 사업은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걸쳐 있으며, 특히 재료, 설계, 가공, 조립 등을 아우르는 기술 및 자본 집약적인 산업입니다. 화학물질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켐트로닉스는 이를 경영의 핵심 요소로 삼아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분야로는 전자용 케미칼(전자급 Solvent, 반도체용 Monomer, 디스플레이용 Polymer 등)과 공업용 케미칼(페인트 원재료 등)이 있으며, 다양한 전자재료를 개발 및 양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화학 케미칼 사업의 성장성은 국내 제조 기술의 발달과 함께 수입 의존도가 감소하고, 반도체와 같은 화학 전방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용 PGMEA 시장의 성장이 예상되며, 켐트로닉스는 이 분야에서 순도 99.999%의 PGMEA 생산에 성공해 양산 중에 있습니다.
켐트로닉스의 경쟁 우위는 오랜 업력을 통한 Know-how, 경쟁력 있는 Sourcing Line, 다양한 인증 획득, 국산화 성공 등에서 나타납니다. 또한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새로운 케미칼 합성 및 정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반도체 PR용 및 Thinner용 PGMEA 국산화에 성공하여 설비 증설을 추진 중입니다. 2024년에는 반도체 업황 상승과 정부의 지원으로 PGMEA의 필요성과 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화학 케미칼 사업의 경기 변동성은 다소 안정적이나, 원유 가격, 환율, 원재료 비용 및 환경 규제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켐트로닉스는 글로벌 기업들과의 신뢰 관계 및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사업 기회를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전자재료 케미칼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 화학사업_ 디스플레이 사업부문
켐트로닉스의 디스플레이 사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IT 기기의 슬림화, 경량화, 고해상도화, 대화면화라는 시장 추세에 부합하여 Glass Panel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가공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007년 Glass Slimming(식각) 공정을 시작으로, Digital 정밀 Cutting(HIAA1), UTG(Ultra Thin Glass) 등의 고난도 Glass 가공 공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산업 내 다양성과 중요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2020년 하반기부터 OLED 패널의 원가가 LCD와 비교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함에 따라, 노트북 및 태블릿 PC용 OLED 디스플레이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2024년부터 출시될 IT 기기 제품에 OLED가 널리 탑재됨으로써 OLED 식각 수요의 증가가 예상됩니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LCD에서 Rigid OLED, Flexible OLED, Hybrid OLED로 진화하면서 OLED 패널 수요의 증가에 따라 켐트로닉스의 식각 공정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켐트로닉스의 디스플레이 사업은 높은 진입 장벽을 갖고 있으며, 이는 막대한 설비 투자, 연구개발비 지출, 생산 및 품질 관리에 대한 풍부한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국내 식각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커브드 모니터 등 다양한 제품에 식각 공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LCD는 물론 Rigid OLED, Hybrid OLED 식각 공정 개발 및 양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신규 시설 투자를 통해 향후 매출 증대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식각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켐트로닉스의 식각 공정 기술은 지속적이고 독보적인 성장을 기대하게 합니다. 이는 IT 기기의 발전 추세와 맞물려 디스플레이 사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
|
|
- 화학 케미칼 사업의 기술력 : 켐트로닉스는 전자급 Solvent, 반도체용 Monomer, 디스플레이용 Polymer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전자재료 ITEM의 개발 및 양산에 성공하며 화학 케미칼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과의 성장 연동성 :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OLED 디스플레이 수요 증가는 켐트로닉스의 화학사업 및 디스플레이 가공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향후 켐트로닉스의 매출 증대가 기대됩니다.
- 독보적인 디스플레이 가공 기술 : Glass Slimming, Digital 정밀 Cutting, UTG(Ultra Thin Glass) 등 고난도 Glass 가공 기술을 통해 IT 기기의 슬림화, 경량화, 고해상도화에 기여하며, 이는 켐트로닉스를 디스플레이 가공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게 합니다.
-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네트워크 : 켐트로닉스는 동진쎄미켐, LG화학, 동우화인켐, KCC, 삼화페인트 등 글로벌 기업들과의 안정적인 공급망과 협력 관계를 통해 화학 케미칼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지속가능성과 환경규제 대응 : PGMEA의 순도 개선 및 친환경성 확보 등을 통해 환경 규제에 대응하며, 지속 가능한 사업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켐트로닉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
|
1983년에 설립된 켐트로닉스는 전자 및 화학 사업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켐트로닉스는 전자사업, 화학사업, 태양광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전자사업은 전자부품, 무선충전, 자율주행 사업부문으로 나뉘며, 화학사업은 케미칼과 디스플레이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3년 1분기 기준으로, 자율주행 연구소에서는 국책 과제를 포함한 다수의 연구개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23년 9월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연결 기준 매출액은 15.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61.3% 감소하여 당기순이익이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특히 아시아 부문에서의 매출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켐트로닉스는 지속적으로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전자부품 사업과 자율주행 사업의 기술 시너지를 활용하여 삼성전자의 전략 모델인 스마트모니터에 공급할 카메라 모듈을 개발하는 등 신규 제품 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TV 부문까지 확대 적용될 예정으로, 켐트로닉스가 기술 혁신을 통해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AI로 인한 반도체 상용화로 인해서 앞으로 매출증대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도 감소하고 있어서 앞으로 실적 개선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
|
📈켐트로닉스 관련하여 전문적인 차트분석이 궁금하시다면, 카카오톡 커뮤니티를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
|
|
😊궁금하신 사항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
|
💝투고레터가 유익하셨다면, 친구와 가족에게도 알려주세요!💝
|
|
|
📬 이름 및 이메일 주소를 수정하고 싶으신 분들은 여기를 눌러주세요! |
|
|
(주)이머니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311, 재화스퀘어 12층 eMoney (염리동)
대표전화 02-6272-3415 FAX 02-780-5017
© eMoney Corp.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