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2,625.05 ▼ 22.03 (-0.83%)
KOSDAQ 853.75 ▼ 13.65 (-1.57%)
|
|
|
🤗님!
투고레터는 장 마감 후, 그 날의 주요 종목들과 이슈를 정리하여 구독자 여러분들께 보내드리고 있는데요.
💌이제 장 시간 동안에도 발생하는 이슈를 실시간으로 전달해드리려고 해요!
아래 카카오톡 커뮤니티로 들어오시면 투고레터 필진인 노태성 대표님께서 분석해주시는 투자 정보들을 무료로 보실 수 있어요.
*현재 약 900명 참여중
*해당 커뮤니티는 익명성이 보장된 오픈 채팅방 형식으로 운영됩니다. |
|
|
✔ 갤럭시아에스엠 (011420)
- 스포츠마케팅과 국내판권을 소유하여 운동기구 유통사업 영위
- 스포츠단체들과 지역 단체들이 주최하는 스포츠대회마케팅, 스폰서십, 머천다이징 등 활발한 스포츠 마케팅사업 추진
|
|
|
🥇 1. 조선
1. 한화오션 ▲ 5.23%
2. HD현대중공업 ▲ 4.74%
3. 삼성중공업 ▲ 3.51%
🥈 2. NFT
1. 갤럭시아에스엠 ▲ 24.77%
2. 핑거 ▲ 6.04%
3. 갤럭시아머니트리 ▲ 5.85%
🥉 3. 에너지
1. DGP ▲ 29.83%
🏅 4. 증권
1. 한화투자증권 ▲ 5.69%
2. 대신증권 ▲ 2.33%
3. 신한지주 ▲ 1.57%
|
|
|
🟣저스템 ▲ 30.00%
: 2세대 반도체 습도제어장치 'JFS' 수주 개시하며 상한가
|
|
|
🟣동일고무벨트 ▲ 29.94%
: 카이스트와 함께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VR) 기술을 결합한 초고속 개발 프로세스를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는 소식에 상한가 |
|
|
🟣DGP ▲ 29.83%
: 엔지브이아이의 경영권과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함에 따라 수소 사업에 박차를 가할 것 이라는 기대에 상한가 |
|
|
🟣엑서지21 ▲ 29.83%
: 실적이 바닥을 찍었다는 인식이 주가에 훈풍을 불어 넣어 상한가 |
|
|
"펠리클 시장점유율 1위 내년 양산 시작, 에프에스티" |
|
|
반도체 산업은 크게 메모리 분야와 비메모리 분야로 나뉩니다.
메모리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주로 D램과 낸드플래시로 구분됩니다. 이 시장은 국내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선점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시스템 반도체로도 불리며, 중앙처리장치(CPU), 멀티미디어 반도체, 주문형반도체(ASIC), 복합형반도체(MDL), 파워반도체, 개별소자,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합니다. 이들은 다양한 종류와 소량 생산이 특징입니다.
시스템 반도체는 컴퓨터의 CPU,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차량용 반도체 등 '두뇌'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연산, 제어 등 정보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자율주행,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4차 산업의 핵심 부품으로 필수적이며, 시스템 반도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기의 모바일화, 스마트화, 자동차와 의료기기, 산업기기의 인터넷 연결 등으로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반도체 산업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메모리반도체 시장은 수요 감소, 가격 하락, 높은 재고 수준으로 인해 전년 대비 17% 역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3년 상반기는 메모리반도체 수요가 둔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반부터는 수요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IT기기 수요 감소로 인해 반도체 기업 및 수요기업의 재고가 증가하여 상반기 중 재고 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반기에는 수요 회복이 기대되지만, 경제 성장률 둔화로 큰 폭의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시스템반도체 시장은 2019년 2,269억 달러에서 2025년 3,389억 달러로 연평균 7.6% 성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로직 IC, 마이크로컴포넌트, 아날로그 IC 순으로 시장 규모가 크며, AI반도체 시장은 2018년 70억 달러에서 2030년 1,179억 달러로 연평균 26.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반도체 시장은 제품 수명 주기가 짧고, 새로운 제품 생산을 위해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장치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실리콘 사이클에 따른 호황과 불황의 순환을 경험했으나, 최근에는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의 비중 확대와 경쟁력 부족 업체의 구조조정으로 반도체 산업 경기 변동 폭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메모리와 비메모리의 융합, 고집적화 및 복합기술 추구, 웨이퍼 대구경화 및 자동화 기술 도입 등으로 반도체 경기변동 사이클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시스템반도체 시장 규모는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2배 이상이며, 변동성이 낮아 시스템반도체 경쟁력 강화 시 반도체산업의 변동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메모리반도체의 수요는 서버, 모바일, PC에 의존적이나, 시스템반도체는 자동차, 가전 등으로 수요처가 다양합니다. 메모리반도체는 주기적 대규모 설비투자와 공급과잉 문제가 있으나, 시스템반도체는 주문형 생산, 설계·생산의 분업화로 인해 가격변동성이 낮습니다.
이에 따라 시스템 반도체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반도체산업에서는 생산능력 확대 및 생산원가 절감의 중요성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공정 미세화의 난이도 증가와 투자 대비 수익에 대한 불확실성 증대로 인해 사업 환경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응하여 생산기술의 고도화, 투자 절감, 제품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선행기술 및 응용기술 개발, 저온 공정 및 공정 미세화에 필요한 장비 및 재료 개발에 메이커와의 협력이 중요해졌습니다. 우수한 연구인력 확보와 미래 신기술 개발 선점이 중요한 경쟁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에 의존하는 원자재를 국산화함으로써 안정적인 공급 및 가격경쟁력 확보가 필요합니다.
|
|
|
에프에스티는 국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펠리클(Pellicle)'과 '칠러(Chiller)'의 제조를 주력으로 하는 업체입니다. 현재 펠리클 분야에서는 국내 시장 점유율이 약 80% 정도로 추정되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확대와 미세화 공정으로 인한 수혜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펠리클 제조에는 대규모의 투자가 필요한 클린룸 설비와 숙련된 제조 인력, 화학 물질에 대한 노하우가 필요하여 진입 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특히, 비메모리 분야에서의 수요가 더크며, 최근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비메모리 부문 투자 확대로 인한 시장 확대가 예상됩니다. 또한, 해외 고객사들로부터의 공급 의뢰가 증가하고 있어 수출 확대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FPD용 포토마스크를 보호하기 위한 펠리클의사용은 필수적입니다. 최근 LCD TV 시장의 침체를 극복하고 WOLED TV로의 생산 전환으로 대형 펠리클 시장 성장이 예상됩니다. 중소형 시장에서는 중국의 주요 모바일 및 자동차 산업용 OLED 패널 고객 확보, 중형(6G) OLED 투자 증가가 예상됩니다.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에서는 OLED 분야가 가장 높은 성장을 예상하며, 앞으로 LCD 시장을 대체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 소재 산업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펠리클의 경우 초대형화 및 고품질화가 요구됨에 따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장기적으로 국내외 반도체 생산업체의 생산 시설 및 설비 투자 확대로 매출액 상승이 예상되며, 국내 경쟁업체로는 유니셈, GST, 테키스트 등이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 공정의 미세화에 따른 -50℃ 이하 초저온 칠러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특히 해외 고객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칠러 시장의 핵심 경쟁 요소는 성능, 가격, 품질, 판매 전후 서비스능력으로, 국내업체의 가격과 서비스 능력이 선진국 기업들을 앞서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칠러 시장은 반도체 제조라인의 증설투자뿐만 아니라, 기존 장비의 노후화에 따른 교체 수요로 안정적인 매출을 달성할 수 있는 분야입니다.
에프에스티(FST)의 주요 사업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반도체 펠리클: 반도체 제조 시 노광(Photolithography) 공정에서 포토마스크(Photomask)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을 제조 및 판매합니다. 이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FPD 펠리클: TFT-LCD, OLED, 또는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 제조 시 마스크 위에 그려진 패턴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을 제조 및 판매합니다. 이는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중요한 부품입니다.
2. TCU(Temperature Control Unit) 사업부
- 이 사업부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필요한 챔버 내의 온도와 웨이퍼 주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공정 효율을 개선하는 장비를 제조 및 판매합니다. 또한, 장비 제품의 품질 보증 기간이 경과한 후의 수리 용역 등도 제공합니다.
3. 솔루션사업부
- 이 사업부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의 반도체 부품 회사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센서반도체, 전력전자반도체, LED 등을 휴대폰, FPD TV, FPD패널, 모니터, 셋탑박스, 가전제품,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 자동차 등 관련 산업에 공급하고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에프에스티의 종속회사들은 다양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과 제품을 개발 및 제조하고 있습니다.
1. (주)에스피텍
- 반도체 펠리클용 프레임 제조: 노광 공정에 사용되는 핵심 제품으로, 엄격한 품질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Coating 층에서의 유/무기 Out-Gas 발생량을 매우 낮게 유지해야 합니다. EUV 펠리클용 무결점 EUV 프레임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되며, EUV 공정에 필요한 다양한 소재와 부품의 특수 도금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2. (주)화인세라텍
- Probe Card용 MLC 제작: 기술 집약적인 제조 공정을 바탕으로, 반도체 공정의 미세화에 따른 안정적인 부품 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일본 제조 기술을 가격과 납기 측면에서 우위를 점해 한국 시장으로 이전하고 있으며, 고도의 기술력과 초기 설비 투자가 큰 사업으로, 장기적으로 수익 창출이 가능합니다.
- CVD-SiC 소재 기술: NAND, DRAM 시장의 확대에 따라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내열성, 내식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한 CVD-SiC 소재를 활용하여 반도체 공정용 부품 제조 및 판매를 하고 있으며, 제품 확대와 매출 증대를 위해 제조 설비 증설을 진행 중입니다.
- 스크러버 기술: 반도체/디스플레이 폐가스 처리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기술적인 차별성을 바탕으로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Resin을 활용한 스크러버 기술로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신규사업으로는 EUV 및 극저온/극고온 칠러 기술 개발이 포함됩니다. EUV 공정에 적합한 EUV Pellicle 및 관련 장비 개발과 고객사 데모 후 판매 전환을 진행하고 있으며, 극저온 칠러 기술 개발을 통해 반도체 에칭 장비 등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칠러 매출 확대가 예상됩니다.
|
|
|
- 펠리클사업_제조시 마스크위에 그려 져 있는 패턴을 외부의 이물질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
-TCU사업부(칠러)_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챔버 내의 온도와 웨이퍼의 주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공정효율을 개선하는 장비
- 삼성전자 내 펠리클 시장점유율(M/S) 80%라는 압도적인 숫자를 유지 EUV 펠리클 내년 3분기부터 본격적인 양산
-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노광 공정에서 마스크를 보호하기 위한 펠리클, 식각, 에칭, 증착 등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칠러 장비 생산을 주력
- 매출 비중은 펠리클 44.3%, 칠러장비 55.7%로 나뉜다
펠리클 신규시설투자를공시했다. 총 투자 규모는 330억 원 펠리클 투자 규모는 기존 CAPA 의 최대 50%에 달하는 수준
- 그동안 부진했던 반도체 업황이 2024년부터 돌아서며 국내 고객사의 수요 확대와 미국 테일러 공장 가동 및 최근 들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중화권 고객사 수요까지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투자
- 에프에스티의 최대 고객사는 삼성전자이고 삼성전자가 2021년 3월 지분투자를 단행해 현재 7%의 지분을 보유
- 삼성전자 내 펠리클 시장점유율 80% 보유…EUV 장비 공급”
지난 7월에는 고객사에 EUV 펠리클 탈부착장비(EPMD)와 EUV 펠리클 검사장비(EPIS)를공급했다.
- SREM 장비는 독일의 칼자이스(Carl Zeiss)가 사실상 독점 외산 장비의 독점을 깨고 국산화를 성공하게 되는 것으로 그 의미가 상당
<신규사업>
EUV공정 - 반도체가 점점 소형화 되는데 반도체 칩 안에 현미경으로 봐야 보일 정도로 작고 미세한 회로소자 수십억개를 형성하게 된다. EUV 공정은 이러한 노광 단계를 극자외선 파장을 가진 광원을 활용해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향후 반도체는 AI로 인해 더욱 복잡해 지는데 그 과정에서 EUV 공정은 필수 공정으로 떠오릅니다.
|
|
|
에프에스티는 반도체 웨이퍼의 MI(Overlay Metrology, Inspection) 장비 제조를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2011년 국내 최초로 Overlay 계측 장비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한 이래, High Performance AF System 등의 핵심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왔습니다. 현재는 Thin Film Metrology 장비 개발을 통해 MI 장비 분야의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고자 노력 중에 있습니다.
2023년 9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연결 기준 매출액은 21.6% 증가했으며, 영업손실은 66% 감소, 당기순손실은 85% 감소했습니다. 개발 중인 신규 장비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증착되는 박막의 두께를 앙스트롬 단위의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초정밀 계측장치입니다. 이 신규 박막계측장비는 식각, 증착 공정뿐만 아니라 평탄화 공정 등 대부분의 공정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향후 회사의 중장기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
|
📈에프에스티 관련하여 전문적인 차트분석이 궁금하시다면, 카카오톡 커뮤니티를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
|
|
※참고※
투고레터는 2월부터 매주 화요일, 목요일 주 2회 발송됩니다! |
|
|
😊궁금하신 사항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
|
💝투고레터가 유익하셨다면, 친구와 가족에게도 알려주세요!💝
|
|
|
📬 이름 및 이메일 주소를 수정하고 싶으신 분들은 여기를 눌러주세요! |
|
|
(주)이머니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311, 재화스퀘어 12층 eMoney (염리동)
대표전화 02-6272-3415 FAX 02-780-5017
© eMoney Corp.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
|
|
|
|